송숙남교수

송숙남 Art & Design

Professor

작품평론

5회 개인전 - 보이는 세계 너머의 生命律(생명율)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sooknam
댓글 0건 조회 60회 작성일 22-01-12 11:01

본문

보이는 세계 너머의 生命律(생명율)

-송숙남의 회화-

 

1. 송숙남의 제 5회 개인전의 조각도

송숙남의 제 5회 개인전은 자연의 생명에 대한 일체감과 인간의 일상적 삶에 대한 교감을 다양한 기법의 판화작품 40여 점을 통해 제시한다.

빛의 세계를 암시하는 다색의 세리그라피와 순간의 감정과 호흡을 섬세한 손끝의 線描(선묘)로 직재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흑백 모노톤의 드라이포인트와 아콰틴트그리고 매 작품마다 드로잉으로 가필하기도 하고 오브제를 붙이기도 한 앗상블라쥐와 평면오브제로 이루어진 이들 작품은 사실상 복제품으로써의 판화가 아니라 일품예술이다여기에서 일품예술로써의 회귀란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이 기술복제시대의 대량 생산을 위한 표현기법으로 찬양했던 판화의 의미를 반전시켜 각 작품마다 작가의 살이 있는 호흡과 자취를 아로새기며 기계 복제방식에 의해 상실된 아우라aura를 살려내고 있는 것이다그것은 선진 수준을 자랑하는 초고속 정보망이 우리의 모든 삶에 침투하여, TV 화면이나 광고매체를 통해 등장하는 유명 배우나 인물을 원본으로 삼아 자신의 고유한 외모를 벗어버리고 거리낌 없이 성형하는 복제문화다양한 타자적 요소들을 내면화하여 복합적인 자아를 형성해가는 복합문화시대에 망각해가고 있는 우리의 내밀한 감성과 정서를 회복하여 인간애와 자연에 대한 향수를 잔잔하게 불러일으킨다.

송숙남 작품들은 주체적 자아와 해체에 갈등이나 혼란 없이 혼성화 되어가는 현대인이 스스로를 반추해 볼 거울로써생명의 가장 원초적인 것과의 교감대상과의 본질적인 만남그 찰나적인 희열의 순간들을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폴 클레가 작업으로써의 화가가 아니라 살아있는 일과 그리는 일을 일체화하고자그리는 일을 기술로 파악하지 않고 한 인간의 인생에 관련된 것으로 파악하려 했던 것처럼 그녀는 하나의 선과 색채와 율동하는 공간에 작가자신의 생명의 약동과 호흡삶의 기록들을 싣고 있다.

그것은 20세기 초이성 중심적인 합리주의와 물질주의가 형성해 낸 유럽의 근대 문명사회와 그에 부응하여 체계화되고 형식화 된 기성의 미술로부터 벗어날 안티테제로써 어린이의 뎃상에는 예외 없이 대상 자체의 내적 울림이 나타난다아동 미술의 프리미티비즘에 시선을 돌리고, “마치 유럽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모르는 새로 태어난 사람처럼 현실과 유행을 무시하고 원시상태의 소박한 어떤 것독자적인 형식아무런 기교도 없이 연필로 에워쌀 수 있는 모티프를 만들어 내고 싶다고 열망하던 폴 클레와 독일 다리파 화가들의 표현주의 자세와 닮아있다그들이 근대산업문명을 기초로 몰개성화 해가는 도시문명에 대한 안티 테제로써 고유한 아이덴티티를 추구하려했던 것이었다면송숙남의 그것은 국가의 틀이나 영토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다국적첨단 정보화 사회 속에서 분열된 자아로 유랑하는 시대에 대응한다폴 클레가 튀니지아의 여행에서 빛과 색채를 발견함으로써 독자적 작품세계를 구축할 수 있었다면 송숙남은 그녀가 서울과 아메리카로 유학을 하는 과정에서도 변함없이 자신의 유년시절에 체득한 감수성과 기억들을 간직한 채남도의 향토적 미감과 전통적 정서를 화면의 피부감과 색채의 선묘 속에 담보함으로써그녀 특유의 조형언어를 구사하고 있는 것이다그녀는 자연이나 구체적 체험을 대상으로 하되그것을 재현하고자 하지 않는다심상 속에 융해된 내적 정신이나 생동성에 육박하려는 그녀의 寫意的(사의적태도와 그것을 선묘나 물감의 텍스춰 속에 일체화하려는 筆意(필의)는 주목할 가치가 있다.

그녀의 작품이 지닌 가능성은 역사적 파노라마로써 진보되고 확장되어가는 담론으로써의 현대회화가 아니라개인적인 인격도야의 과정이면서 인간과 예술의 보편적 근원에 닿으려했던 과거 동아시아 화가들의 반 역사주의적 세계관에 접맥되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2. 상징으로써의 텍스트

삶과 예술의 일체화를 지향하면서도 그 둘 사이에 가로놓인 깊은 심연을 건너기 위해 고심했던 폴 클레가 모든 예술은 자율적으로 형성된 것이면서 동시에 상징이라고 규정하여상징으로써의 기교를 걸쳐놓았듯이 송숙남 역시 제작과정에서 애매함과 혼돈 속에서의 매 순간 조형 언어의 선택과 어려움과 하나의 변화를 추구하기 위해 수반되는 갈등과 모색의 고통을 고백하며 작품과 삶 사이의 균열을 <미완>의 알레고리로 표현하고 있다특히 그녀의 작품에서 주목할 것은 <작품을 제작하기 시작할 때의 작가의 창작의도와 풋풋한 생동감>을 그대로 견지하려는 의지로써이는 완성을 향해 열어놓은 바탕 즉 동아시아 수묵화에서 보이는 <여백>의 정신과 맞닿는다.

그녀의 작품은 대체로 심상기억들에 기초하고 있다흑백 모노톤의 드라이포인트와 반투명의 아쿼틴트 작품은 그녀의 일상적 생활체험을 때로는 내러티브하게 때로는 시적으로 조형화한다. <청춘-사랑 나 그대를 다시 부릅니다>, <떠나는 이>, <희망가>, <Site of Double Situation>, <Site of Calm>으로 전개되는 제명의 작품이 그것이다에칭작품 <떠나는 이>에서 그녀는 화면 전체의 4분의 3을 차지할 만큼 비중 있는 중앙 공간에 주인공인 듯한 여성을 얹히고 그녀의 우측 상단에 멀어져 가는 남성의 표상을 과장된 원근법으로 적용하여 작게 묘사하고 있다그런데 주목할 것은 남자를 향해 얼굴을 돌리고 있는 여성의 눈에서부터 시작하여 뒷모습의 남자 발 아래로 연장되는 직선이다그것은 두 사람의 관계(因緣)와 멀어지고 있는 이별의 시간성을 나타내며동양회화에서의 이동시점을 표상화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Site Of Calm>은 마치 석양이 저물어가는 무렵에 해변에서 바라 본 맞은 편 섬 봉우리와 그 사이의 수면 풍경을 연상케 하는 아카데믹한 작품이다이 풍경은 자연의 외관을 쫓는 재현의 세계가 아니라심상 속의 풍경이다엄밀히 말하여 화면 속의 선과 색채의 자율적 질서에서 형성된 추상세계이다그것은 독일 미학자 H. Lützeler가 동아시아의 수묵화에 대해 진단하였듯이 미술적으로 미완성이면서 동시에 감상자에게 있어 <완성 가능한구도요드러난 해변풍경은 단지 그 배후에서 우리 모두의 잃어버린 실낙원을 암시할 뿐이다.

 

3. 전망

정념pathos을 초월하여 운동을 질서화 하려했던 폴 클레의 아동화적 요소와 선율의 세계를 공유하고 있는 송숙남은 보이는 세계 너머의 생명의 리듬과 대상세계와의 만남 속에서 체험한 엑스터시를 표현하려 한다그녀의 밝고 투명한 화면의 중첩과 몇 번이고 거듭되는 마티에르 표현순간 호흡을 감지케하는 예민한 선묘는 날로 가속화 되어가는 영상문화시대에 질박한 남도의 향토적 정서를 견지하면서 동시에 그녀가 창작의욕과 표현 사이에 놓인 심연을 가로지르기 위해 고뇌하는 과제를 해결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미 대상과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중성적인 만남 속에서 안도감을 느끼며현실 보다 강렬화 된 가상체험에 만족하는 오늘의 우리가 진정 공감할 수 있는 원시적 생명성과 그 리듬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최신의 미술양상과 문화현상에 대한 보다 넓고 해박한 이해와 그것의 배후에 있는 근원적 동기들에 시야를 넓히고그들과의 첨예한 평형을 유지할 대안으로써의 새로운 원초성primitivity의 탐색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김영순(미술평론가세종대학 언론문화대학원 겸임교수)

 


 

The Rhythm of Life beyond the Real World

 

1. Appreciation of Sook-Nam Song’s Fifth Art Exhibition

Her fifth exhibition demonstrates the commonality between the ritual of human life and the liveliness of nature through the 40 engraving works in various ways. She presents the inside world of the human with the serigraphy of various colors which connotes the world of lights. Her use of dry point and aquatints reveals the transitory emotion and breath through delicate techniques using the monotonic colors of black and white. They belong more in the realm of inspiration rather than just representation.

Walter Benjamin once remarked that the expression‎ technique for mass production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involved with engraving is important in that it can replicate the fine arts in a fashion similar to the mass production in the modern industrial era.

In fact, we are living in a world today where human beings can also be replicated through cloning. However, her works changed such a concept of printmaking by enlivening the aura in mass-produced fine arts, an aura which can be lost in an era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lines, colors, and the spatial structure of her works record her life experiences in search of the primitivity of human life which are involved with their feelings, conversations, and the fantasies. They evoke in our hearts nostalgia for the humanity and nature in regaining our innermost emotional sensibility.

Sook-Nam Song’s works give us the opportunity to reconsider our identities without any conflict.

It seems that they are associating with and describing the primitive fantasies of human beings. As Paul Klee presented his life on the canvas not as an occupational artist but as genuine human existence, she presents the ecstacy and liveliness of her life on the canvas through the combination of lines, colors, and spaces.

It is similar to the artistic expression‎ of Klee and the Brücke artists, who pursued the primitivism of children’s drawings as an antithesis, resisting against the formalized arts of adults which are based on rationalism and materialism.

Like the newborn with a pencil who do not trouble themselves with realism, they endeavored to present the motives which are unique and innocent. As they tried to pursue their unique identities as an antithesis to urban culture which is being degraded i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Song presents the innocent beauty and the traditional spirit of the Jeonnam Province in her work.

She keeps the impressions and memories of their childhood, even though she had lived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in America for her education. She does not show nature and her experiences as mere representations; rather, she incarnates the essence and spirit of her life in her artistic texture.

The potential of her art cannot be seen as a panoramic history which is enlarged and developed as a discourse in modern painting, but it is rooted instead in an anti-historical view of the world which has been shared by past East Asian painters who wanted to reach the general source of life and art.

 

2. Text as a Symbol

Paul Klee said that all arts are composed of autonomous formulations and symbols, as he attempted to bridge the deep river between life and art. Like Klee, Song strives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life and art using the allegory of unfinished works, with confessions of her painful life of conflict and struggle to find an appropriate language of her own through her art medium.

In the midst of ambiguity and chaos, she records the angst in search of change.

The most impressive aspect from her work is the strong will toward the completion of an artwork without losing the enthusiasm and liveliness that she captured in the beginning of her work.

Her work originates from innate images that are stored in her deep memory. She narrates the experience of her routine life in a poetic manner through her works by the dry point and semi-aquatint process. They are titled “Youth and Love; I Miss You Again”, “Departed Man”, “Song of Hope”, “Place to Double Situation”, and “A Silent Place”.

In her work “Departed Man”, she positions a woman in the center who is occupying three-fourths of the canvas and a small-faced man in the upper right corner to stress the distance between them. The straight line from the woman’s eyes to the man’s foot depicts the flow of time and change of spaces from their separation which is a feature of Orient art.

“A Silent Place”makes us imagine a beach with the sun setting over the water’s edge in harmony with an island in the far distance.

This scene is not coming from the world of representation which desires for the surface appearance of nature, but from the image in her consciousness. Strictly speaking, this is a world of abstraction concretized in autonomous order of artistic lines and colors in dynamic movement on the canvas. As found in H. Lützeler’s explanation about the Oriental paintings in India ink, it is an unfinished work in terms of art, although it can be seen as in a process of being finished in the view of the observer. The scene of the beach in this work alludes to the Paradise Lost.

 

3. Perspectives

In this exhibition, Sook-Nam Song attempts to express the ecstacy experienced from the meaning of the objective world and the rhythm of the transcendent world in line with Paul Klee’s artistic realm which through his research of children’s drawings goes beyond the world of pathos.

The overlapping of clear and bright colors, the repeated presentation of Matier, and the delicate lines which gives the sense of momentary breathing, helps bridge the gulf between creative intention and actual expression‎. This also sustains the local spirit of thr Jeonnam Privince that is disappearing in this age of mass culture.

However, for those content with meaningless encounters with the object by which they distance themselves, it is necessary to broaden their vision to realize the liveliness and rhythm of the primitive human life evident in a work of art.

For those content with the experience of intensified virtual reality, in order for them to regain their rhythm and primitivity. Not only must one attain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phenomena in culture and art, but must ultimately search for a new primitivity as an alternative to find a balance with these modern trends.

 

Kim, Youngsoon(Art Critic, Concurrent Professor of Graduate School of Speech&Culture, Sejong University)